1234567891011121314151617181920212223//타입 추론 //변수나 상수 선언시 타입(자료형)을 명시하지 않으면 타입(자료형)을 추론한다.var name1 = "스위프트 킴" //타입을 명시하지 않았지만 타입 추론을 통해 String 타입으로 선언된다.var name2:String = "스위프트 킴" //String 타입을 명시적으로 선언하였다.//이 처럼 스위프트에서는 타입 추론을 해주기 때문에 타입을 명시적으로 선언하지 않아도 된다.//BUT !! 타입추론기능이 나의 마음을 완벽히 읽지 못하기 때문에 타입을 명시적으로 선언해야 할 때가 많다. //예를 들어var num1 = 0.1 //나는 Float형 변수를 선언하고 싶었지만 타입 추론기는 Double형으로 타입을 추론하였다...
12345678910111213141516171819//변수&상수 //변수의 값은 계속 변경할 수 있다. var 키워드로 선언(variable)//상수의 값은 한번만 입력할 수 있다. let 키워드로 선언(constant) var age = 23 //나이는 매년 변하기 때문에 변수로 선언하고 23을 대입하여 초기화한다. 변수명은 age이다.let birth = 1994 //생년은 변하지 않기때문에 상수로 선언하고 1994를 대입하여 초기화한다. age = 24 //1년이 지나 나이를 하나 더 먹었다. 24살이다. 변수는 값을 변경할 수 있다.birth = 1995 //상수인 birth의 값은 바꾸려하자 오류가 발생한다. 상수인 생년은 바꿀 수 없다. 어쩔 수 없는 94년생이다. //상수는 선언과 동시에 ..
123if let resultController = storyboard!.instantiateViewControllerWithIdentifier("EXStoryBoardID") as? ResultViewController { presentViewController(resultController, animated: true, completion: nil)}Colored by Color Scriptercs
검색 사이트 Linkios 폰트 이름을 검색할 수 있는 사이트
12345678910func getAssetThumbnail(asset: PHAsset) -> UIImage { let manager = PHImageManager.defaultManager() let option = PHImageRequestOptions() var thumbnail = UIImage() option.synchronous = true manager.requestImageForAsset(asset, targetSize: CGSize(width: 100.0, height: 100.0), contentMode: .AspectFit, options: option, resultHandler: {(result, info)->Void in thumbnail = result! }) return thu..
1234567891011121314151617181920@IBOutlet weak var testView: UIView! override func viewDidLoad() { super.viewDidLoad() // Do any additional setup after loading the view, typically from a nib. self.animationStart() } func animationStart(){ //Transform 다중 적용 var t = CGAffineTransformIdentity t = CGAffineTransformTranslate(t, CGFloat(100), CGFloat(300)) t = CGAffineTransformRotate(t, CGFloat(M_PI_4)..
info.plist에 NSLocationWhenInUseUsageDescription또는NSLocationAlwaysUsageDescription추가GPS정보를 어플리케이션 사용중에만 사용한다면 NSLocationWhenInUseUsageDescription 에 안내 메세지를 입력한다.GPS정보를 어플리케이션 항상 사용한다면 NSLocationAlwaysUsageDescription 에 안내 메세지를 입력한다. 12345678910111213141516171819202122232425262728import UIKitimport CoreLocation class ViewController: UIViewController, CLLocationManagerDelegate { var locationManager..
events.js:141 throw er; // Unhandled 'error' event ^Error: listen EADDRINUSE :::9000 이런식의 에러가 뜬다면포트를 이미 사용중이라는 말이다.아마 노드서버가 정상적으로 종료되지 않았을 것이다.노드 서버를 죽이자일단 프로세스의 pid를 찾아보자 $ ps -ef | grep app.js ubuntu 7755 7025 0 08:10 pts/0 00:00:00 node app.js node서버의 pid 는 7755다 죽이자 $ kill -9 7755 죽어라
forever는 node.js서버가 죽어도 계속 살아날 수 있게 만들어준다.일단 forever를 설치해보자 $ npm install forever -g 이제 forever로 app.js를 실행시켜보다 $ forever start app.js list로 현재 forever에서 관리하고 있는 프로세스를 확인해보자 $ forever list 그럼 0번에 app.js 가 있을 것이다서버를 끌려면 stop을 사용한다app.js가 0번에서 돌아가고있기 때문에 $ forever stop 0
- Total
- Today
- Yesterday